황재섭의 우리춤 [음(音)을 풀어 춤을 그리다]

춤추는 거미 | 2013.09.05 10:16 | 조회 11024

황재섭의 우리춤 [음(音)을 풀어 춤을 그리다]

 



 

자신만의 춤의 세계를 올곧게 지켜나가는 한국 남성춤을 대표하는 진정한 춤꾼.
그가 펼치는 전통춤의 멋과 기품과 다채로운 전통춤이 펼쳐지는 신명나는 무대.

 

따뜻한 햇살을 머금고 활짝 꽃을 핀 가을날, 국립무용단 주역무용수 출신으로 현재 안무자와 춤꾼으로 활동하고 있는 황재섭의 전통춤에 대한 뜨거운 열정의 무대가 마련된다.
3013년 9월 27일, 서울남산국악당에서 펼치는 황재섭의 <음(音을 풀어 춤을 그리다>는 황재섭이 마련한 첫 번째 전통춤 무대로 국수호, 김말애, 정재만 등 무용계의 큰 선생님들께 다양한 우리 춤을 전수받은 실력을 바탕으로 그 분들의 멋과 흥이 듬뿍 담긴 다양하고 신명나는 작품들로 꾸미는 전통춤판이다.

 

이번 무대는 황재섭 춤 인생에 중요한 스승인 국수호 선생과 김말애 선생의 대표적인 독무작품들로 구성되었다. 국수호 선생의 <입춤> <한량무> <신무>, 김말애 선생의 <굴레> 등 두 명무들을 대표하는 작품들로, 춤이 가지고 있는 곧은 선의 명료함과 유연함, 그리고 몸의 언어를 통한 무한한 공간 확장성 등의 다양한 느낌들을 격조, 절제, 단아, 정취, 풍류, 미색 등 한글의 음(音)으로 해석하여 언어의 유의미함을 황재섭만의 형용할 수 없는 춤 언어로 확장하려 한다.

 

전통과 창작의 접목으로 항상 연구하며 새로운 춤 공부에 최선을 다하는 무용가로서 전통무대와 창작무대를 넘나들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황재섭은 이번 무대를 통해 전통춤이 가지는 각각의 춤 언어를 일반관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유의미한 언어로 해석하여 그 춤이 가지는 느낌에 관객 개개인이 열린 감성을 자유롭게 소통, 공감하고자 한다.

 

이렇듯, 이번 무대는 다채로운 한국의 전통춤에 서려있는 멋과 기품 그리고 흥과 신명을 두루 담아 그 아름다움과 깊은 향기를 뛰어난 구성미와 춤사위로 빚어내며, 대중의 정서와 감수성을 반영한 새로운 무대로 시대적 감각에 맞춰 전통춤의 멋을 더욱 세련되고 아름답게 표현한다.

 

 

■ 프로그램

1. 정도 正道(입춤) / 황재섭
전통춤에 근간을 이루는 여성적인 기본춤이지만, 국수호류 입춤은 손의 춤사위, 발 디딤새, 가락을 잡는 멋과 연륜 속에 쌓인 숨의 호흡이 춤에 깊이가 더해가는 경지를 느끼게 한다.


2. 격조 格調 (태평무) / 조경아 김경애 김선미
나라의 풍년과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왕과 왕비의 2인무 형태로 꾸며진 춤의 강선영류 태평무는 중요 무형문화재 92호로 복잡 다양한 장단의 변화와 그에 수반하는 발짓 춤의 묘미가 일품인 작품이다.


3. 윤회 輪回 (굴레) / 황재섭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만나게 되는 모든 흔적을 “굴레”라는 상징적인 의미로 설정하여 긴 수건으로 추어지는 독무로, 김말애에 의해 창작된 신무용이다.
온몸을 에워싸고 있는 긴 수건을 통한 선 굵은 춤사위와 공간을 아우르는 기의 운용은 김말애의 수려한 몸의 언어로 빛을 더했고, 이는 남자에게 춤 이음으로도 손색이 없다.


4. 미색 美色 (화선무) / 김경애 김선미 박영애
합죽선에 흐르는 흥과 멋을 다양한 장단에 맞춰 맛깔스럽고 경쾌한 느낌으로 풀어내는 춤으로 임이조에 의해 안무되었으며 경쾌하고 다이나믹한 춤사위로 마무리되는 것이 이 춤의 특징이다.


5. 풍류 風流 (한량무) / 황재섭
유교적 학풍의생활풍습으로 선비들이 풍류를 수학하여 생활했던 춤객 선비의 모습을 대상으로 풀어간 국수호류 한량춤으로 장단 변화에 따른 선비들의 풍류적 삶과 정신이 풍경처럼 펼쳐진다.


6. 절제 切除(남도살풀이) / 조경아 외 풍류팀
남도 살풀이는 남도 시나위 가락에 춤을 실은 작품이다. 정중동의 내면적 몸 다스림이 특징을 이루며 시나위 가락에 맞춰 호흡을 꺾고, 다듬고 머금으며 춤집을 만들어 낸다.
입소리인 구음이 곁들어져 인간 심연의 바다에 물결이 일 듯 가(歌), 락(樂), 무(舞)의 일체의 조화를 이루어 낸다. 긴 명주수건에 손놀림은 한국 춤의 백치미를 형상화 시킨다. 남도 살풀이는 국수호가 고등학교 때부터 익혔던 정형인선생의 춤가락과, 서울의 박금슬선생에 춤동작 사사에서 완성된 살풀이춤의 근본(本)이다.

 

7. 회상 回想(신무) / 황재섭
1400년 전 백제에서 일본에 전해진 기악무(伎樂舞) 형식의 춤으로, 백제의 흥망을 회상하며 현금(玄琴)과 적(笛)에 맞추어 춤의 신(神)을 다스리는 독무로 국수호에 의해 1998년 초연되었다

 

8. 만개 滿開(부채춤) / 안정훈 외
부채춤은 우리의 무용예술이 서양식무대로 옮겨지면서 시대적 사상과 형식의 변모를 거쳐 김백봉에 의해 예술적으로 새롭게 창출된 춤으로 김말애로 이어지는 한국의 대표적인 춤이다. 펴고 접는 죽선과 한지의 소박하면서도 힘 있는 소리는 마치 만개한 꽃들이 춤추는 듯하다.

 

  • 2013년 9월 27일 서울남산국악당 황재섭의 전통춤 공연

 

 

춤추는거미 ds@dancingspider.co.kr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499개(25/25페이지)
춤 나누기 프리뷰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 황재섭의 우리춤 [음(音)을 풀어 춤을 그리다]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1024 2013.09.05 10:16
18 New Dance Work Project BLUR 3 [이웃집할머니]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9300 2013.09.02 10:45
17 프랑스 마기 마랭 무용단 [총성(Salves)]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2221 2013.06.03 16:26
16 2013 한국 현대춤작가 12인전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1154 2013.03.31 23:19
15 춤과 함께한 80년 [眀嘉 강선영 불멸의 춤]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1850 2013.03.20 22:54
14 국립현대무용단의 우수 레퍼토리 <벽오금학>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2059 2013.03.20 22:41
13 서영님의 춤, 그 향기 2013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9880 2013.03.12 15:02
12 안은미컴퍼니[아저씨를 위한 무책임한 땐쓰]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9180 2013.03.01 21:38
11 YJK 댄스 프로젝트 – 완벽한 사랑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9383 2013.02.17 23:03
10 리케이댄스 2013 [이것은 꿈이 아니다 : 산행]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9664 2013.01.30 20:41
9 2013년 국립발레단 첫 정기공연 [로미오 줄리엣]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1697 2013.01.25 21:10
8 핀란드 Satu Tuomisto, 한국 NOW무용단-M극장 공동제작 프로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2919 2013.01.22 15:02
7 서울발레시어터 [호두까기인형]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3329 2012.12.11 14:00
6 파슨스 댄스 컴퍼니 내한공연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1469 2012.11.06 14:17
5 故박병천 선생님 5주기 추모공연 [하늘과 소통하는 소리짓]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0293 2012.11.05 17:03
4 두 댄스 씨어터 [먼저 생각하는 자 - 프로메테우스의 불]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0991 2012.10.17 22:26
3 [김운미쿰무용단] 신화상생神話相生 _ 두 번째 이야기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10152 2012.10.17 21:57
2 제15회 서울세계무용축제 폐막작! 영국-웬디휴스턴 [50개의 막 50 A 사진 첨부파일 춤추는 거미 9896 2012.10.17 21:38
1 제15회 서울세계무용축제 개막작 _ 스웨덴 Sweden 쿨베리 발레단 C 사진 첨부파일 DancingSpider 11903 2012.10.17 21:06